Diplomacy
NATO의 스웨덴: 중립에 미래가 있을까?
Image Source : Shutterstock
Subscribe to our weekly newsletters for free
If you want to subscribe to World & New World Newsletter, please enter
your e-mail
Diplomacy
Image Source : Shutterstock
First Published in: Mar.01,2024
May.13, 2024
Read in English | Читать на русском | Leer en español |
Gap | ||
In Deutsch lesen | اقرأ بالعربية | Lire en français |
스웨덴은 북대서양 동맹의 32번째 회원국이 된다. 몇 주 전에 예측했듯이, 헝가리 의회는 이 스칸디나비아 왕국의 가입 의정서를 비교적 빨리 비준하고 공식적인 NATO 가입에 대한 마지막 장애물을 제거했다. 이것으로 처음에는 훨씬 더 빠른 발전을 기대했던 북유럽에서의 동맹의 확장이 거의 2년 동안의 이야기로 마무리되었다.
스웨덴과 핀란드가 2022년 5월에 신청서를 제출했을 때, NATO에 속해 있던 30개 회원국들 중 28개국이 가입 의정서를 승인하기 위한 국내 절차를 빠르게 진행했다. 그러나, 튀르키예와 헝가리의 두 국가들은 후보자들에게 질문이 있었다. 특히, 앙카라는 "테러범들의 게스트 하우스"가 된 국가들과 동맹 관계를 맺고 튀르키예에 대해 제재를 가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이것은 주로 스톡홀름의 정책을 언급했기 때문에, 핀란드는 2023년 3월에 동맹에 가입했고 스웨덴은 "대기실"에 남겨졌다.
튀르키예에 F-16 전투기를 판매하기 위한 협상에서 장애물을 제거하기로 합의한 미국과 스웨덴의 20개월간의 협상과 연이은 양보 끝에, 터키 의회는 1월 23일에 스톡홀름의 신청에 대하여 긍정적인 결정을 통과시켰다. 그 후, 스웨덴은 최종 장애물인 헝가리의 비준 결여에 직면하였다. 헝가리 의회 의장의 말처럼, 부다페스트에서 스톡홀름은 "어느 정도 존중"을 보여주고 "헝가리를 진지하게 받아들인다"는 것을 증명할 것으로 기대되었다.
결과적으로, 최근 몇 주 동안 이 드라마는 스웨덴의 울프 크리스테르손 총리가 헝가리 총리 빅토르 오르반의 부다페스트 방문 초청을 수락하고 헝가리와 관련된 모든 문제에 대해 개인적으로 논의할 것인지의 여부로 귀결되었다. 처음에, 스웨덴 정부는 적어도 왕국의 나토 가입에 대한 긍정적인 결정이 있기 전까지는 오르반과 논의할 것이 없다고 날카롭고 명확하게 반응했다. 그러나, 결국, 크리스테르손은 2월 23일에 부다페스트로 향했다.
협상 후, 빅토르 오르반은 군사기술 협력 분야에서 도출된 합의가 "양국 간 신뢰 회복에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특히, 헝가리가 신형 그리펜 전투기 4대를 구매하고 헝가리 공군에 이미 주둔해 있는 스웨덴 전투기 14대에 대한 정비 서비스를 10년 연장하는 것에 대하여 합의가 이뤄졌다. 사흘 후인, 2월 26일에 헝가리 의회는 스웨덴의 NATO 가입에 관한 의정서를 비준했다: 188명의 의원이 찬성하고 6명만이 반대했다.
따라서, 연맹의 북유럽 확대를 지지하는 사람들은 침착하게 숨을 내쉴 수 있었다. 수일 이내에, 스웨덴 국기 게양식이 브뤼셀에 있는 NATO 본부에서 열릴 것으로 예상된다. 스웨덴이 중립이라는 바로 그 개념에 대해서 가장 눈에 띄는 아바타들 중 하나가 된 기간 동안에, 스톡홀름이 군사 블록과 비-동맹을 한 지 200년에 대해 선을 그을 것이다.
이미 논의한 바와 같이, 스웨덴이 비동맹 정책을 종료하기로 결정한 것은 완전히 자발적이거나 지난 수십 년 동안의 모든 기반과 흐름을 깨뜨린 것이라고 볼 수 없다. 실제로,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이후에 대중의 충격이 컸던 비상한 상황에서 이루어졌지만, 스톡홀름은 오랜 시간 동안 천천히 이를 향해 나아가고 있었다. 2023-2024년에 나토의 북유럽 확장을 배경으로 더 넓은 국제적인 맥락에서 이 사건의 중요성에 관하여 몇 가지 자연스러운 질문이 제기되기 때문에, 이를 알고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면, 스웨덴과 핀란드의 NATO 가입이 중립과 비동맹의 개념에 어떤 의미가 있을까? 스톡홀름과 헬싱키의 결정이 오늘날의 세계에서 중립의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지표들이 줄어들고 있는 것일까? 그리고, 아직도 정치-군사적 블록 밖에 있는 국가들이 스웨덴과 핀란드의 사례를 유심히 관찰하고 아마도 이를 따라야 할까?
이러한 질문들은 단순히 이론적 질문이 아니다. 우크라이나에서 적대 행위가 발발하고 언론과 고위 정치권에서 최초로 반-러 제재가 부과된 바로 직후에, 우크라이나를 둘러싼 러시아와 서방 간의 대립에 중립이 설 자리가 없다는 논문이 발표되기 시작했다. 적어도, 이런 방식으로, 키이우 와 서방 파트너들은 자신들의 입장을 공식화했다. 설명은 간단하다: 그들이 강조하는 러시아의 행동은 유엔 헌장을 노골적으로 위반할 수 있는 자격이 있어야 한다. 즉, 분쟁에 대한 어떤 형식의 중립적인 태도는 이러한 위반을 부추길 수 있으며, 따라서 비도덕적이고 비합법적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논리를 바탕으로, 그들은 세계 국가들에게 러시아의 행동을 비난하고 서방의 제재 체제에 동참할 것을 촉구했다. 모든 국가가 자신들의 것으로 간주하지 않는 분쟁에서 기꺼이 편을 들 의향이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우크라이나와 서방은 예상대로(그러나 많은 성공을 거두어서) 다양한 설득력과 압박 수단을 사용했다. 이는 유엔 총회에서 전쟁 관련된 결의안을 투표하는 역학 관계에서 분명히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중립을 위한 나라는 없다'는 논제는 세계만큼 오래된 것이다. 대규모로 지정학적, 군사적으로 대립하는 초기 단계에서는 항상 큰 소리로 들린다.
예를 들면, 이는 냉전 초기에 전통적으로 중립적인 국가의 입장과 유고슬라비아와 같은 국가들에 의한 중립 성향이 크렘린과 백악관 모두에서 가혹한 반응을 일으켰던 경우이다. 둘 다 이념적인 적들과의 싸움에서 해로울 뿐만 아니라 매우 부도덕하다고 여겨졌다.
이제 소규모 국가들이 역사적 전통이나 갈등 해결을 도우려는 그들의 바람을 기반으로 중립 정책 유지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주장하기 어렵다; 자국의 이익은 말할 것도 없고, 갈등 당사자국과 반드시 유사하지는 않다. 스위스의 경우가 그 사례이다. 스웨덴과 달리 냉전 기간이나 종식 이후에 심각한 침식에도 굴복하지 않은 베른(Bern)이 자연스러운 중립 정책을 시행하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지를 육안으로 알 수 있다. 한편으로는, 스위스가 서구의 엄청난 압력을 받고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모스크바의 압력을 받고 있는데, 모스크바는 약간 다르지만 EU 제재에 일부 참여한 스위스를 비우호적인 국가로 재빨리 포함시켰다.
폭로하자면, 2022년 중반에, 당시 대통령이기도 했던 스위스 외무장관 이그나치오 카시스는 심지어 새로운 중립 개념을 법에 포함시킬 것을 제안했다. 이 아이디어는 고전적인 스위스의 중립을 "협력적 중립"으로 바꾸는 것이었다. 그러나, 스위스 연방 평의회 의원들이 이 제안을 거절하면서 새로운 개념이 정확히 무엇을 의미하는지는 (비록 그 이름이 이미 어느 정도 명확해졌지만) 미스터리로 남았다. 그러나, 그러한 계획이 등장했다는 바로 그 사실은 오늘날 중립국들이 직면하고 있는 문제점들을 잘 보여주고 있다.
카시스는 중립국이 자국의 안보 환경을 규정하는 특정한 구조적 조건 하에서 최적이라고 생각한다면 그들의 정책을 쉽게 포기하지 않을 것임을 시사하고 있다. 사실, 강대국과 달리, 소규모의 국가들은 독자적으로 자국의 안보 환경을 형성할 수 없고, 규정대로 모호한 표현과 술책을 강요받기 때문에, 변화하는 상황에 적응하고, 그에 따른 외교 정책의 위치에 적응할 것이다. 그러나, 수십 년 심지어 수백 년 동안, 시험대에 오른 정책을 단순히 포기하지는 않을 것이다.
즉, 이들 국가의 국익은, 비록 초강대국일지라도, 특정 갈등의 참여자들이 도덕성을 압박하고 염원하고 호소하는 것보다는 오히려 모든 것의 중심에 머물러 있다.
이것은 스웨덴과 핀란드의 경우가 스위스, 오스트리아, 몰타, 아일랜드 그리고 중립 및/또는 비-동맹을 지속적으로 고수하는 다른 국가들의 경우와 다른 점이다; 그들은 지금 이곳에서 전개하고 있는 특정한 지정학적 조건과 근본적으로 다른 방식으로 국익을 정의한다.
이와 동시에, 국제 관계에서는 항상 단순한 규칙이 적용된다. 주요 행위자들 간의 대립이 비타협적이고 치열해질수록, 중립국들의 책략에 대한 기회와 여지가 줄어든다. 따라서, 유럽에서는 중립국들에게는 정말로 어려운 시기이다. 그러나, 세계의 다른 일부 지역에서는 구조적 조건이 다르고, 그와 반대로, 많은 국가들의 비동맹 정책에 대한 동기 부여가 커지고 있을 뿐이다.
인도는 이를 보여주는 생생한 사례이다. 인도는 이제 어디에서나 환영받는 손님이 되었고, 지정학적으로 주요 적대국들이 문자 그대로 델리(Delhi)를 초청해서 협력하는데 경쟁하고 있다. 그러한 상황에서, 인도가 중립적인 입장을 취함으로써 실속을 차리는 것은 지극히 당연한 일이고, 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이제 유럽의 중립국들은 비동맹 정책의 요소들을 가능한 많이 보유할 권리를 위해 싸워야 하며 그들의 입장이 곧 다시 요구되기를 희망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중립성의 형태와 방법은 필연적으로 진화하고 있다. 중립성에 관한 대표적인 이론가들 중 한 명인 오스트리아의 하인츠 게르트너 교수는 20가지 이상의 다양한 유형의 중립 정책이 존재한다고 추정했다. 이 목록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할 뿐이라는 데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 중립성은 1900년대 초반에 헤이그 협약에 내포된 법률주의적 형태로부터 헤지 거래(hedging)와 같은 하이브리드 정치 형태로 점점 더 진화될 것이다.
어떤 경우에도 중립적인 정책은 때때로 어떤 형태를 취하든지 간에, 국제 관계에서 항상 자리를 차지할 것이라는 점이 중요하다.
특히, 현대 세계와 냉전의 현실을 구분해서 이루어진 세계화의 수준을 고려할 때 그러하다. 서로 대립하는 강대국들 스스로가 결국에는 중립국과 비동맹국 형태에서 연계에 관심을 갖게 될 것이다. 게다가, 중립국과 비-국가 행위자가 없다면, 국제 관계에 기본적인 많은 관습들이 불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면, 그것들 없이는 국제 인도법의 완전한 이행은 상상하기 어렵다.
First published in :
Unlock articles by signing up or logging in.
Become a member for unrestricted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