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bscribe to our weekly newsletters for free

Subscribe to an email

If you want to subscribe to World & New World Newsletter, please enter
your e-mail

Defense & Security

바그너 그룹 반란에 대한 중국의 묵묵부답이 중국-러시아 관계에 대해 알려주는 것과 알려주지 않은 것은 무엇인가?

시진핑 주석과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

Image Source : Wikimedia Commons

by Joseph Torigian

First Published in: Jun.30,2023

Aug.25, 2023

2023년 6월 24일 용병 부대가 모스크바를 향해 돌진할 때,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러시아 지배 엘리트들만이 이를 걱정스럽게 지켜본 것이 아니었을 것이다. 중국에서도 이를 걱정스러운 얼굴로 지켜보고 있었을지 모른다.

 

우크라이나 전쟁 내내 중국은 동맹으로서 푸틴과 함께 하고 러시아에 경제 생명선을 제공하는 한편 이웃 국가의 불안정 가능성으로부터 중국을 차단시키는 일종의 균형 잡힌 행동을 취했다. 러시아에서 쿠데타가 발생하면 중국의 신중한 외교적 행보에 큰 변화가 일어나고 중국은 새로운 골칫거리를 안게될 것이다.

 

미국 American University의 중국과 러시아 전문가인 Joseph Torigian 교수는 바그너 그룹 수장 프리고진이 크렘린에 도전한 혼란스러운 24시간에 베이징이 어떻게 대응했는지, 그리고 그것이 왜 중요한지에 대해 대화를 진행했다.

중국이 바그너 그룹 반란 사건을 어떻게 인식했는지에 대한 어떤 단서가 있나?

중국의 공식 논평이 거의 없었기 때문에 중국이 실제로 이 사건을 어떻게 생각하는지 추측하기 어려울 것이다. 러시아인들은 중국 언론이 그들 언론과 마찬가지로 엄격하게 통제되고 있음을 잘 알고 있다. 역사적으로 러시아인들은 자신들이 중국 언론에 어떻게 묘사되는지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가져왔다. 그래서 중국은 중국 관리들이 러시아 외교관들로부터 잔소리나 불평을 듣지 않도록 자신의 언론에서 인쇄되는 내용에 주의를 기울일 것이다.

 

그러나 중국에서 이 사건에 대한 진짜 우려의 징후가 나올 수 있다. 나중에 삭제되었지만 트윗에서 정치평론가 후시진은 이렇게 썼다: “프리고진의 무장 반란은 러시아의 정치 상황을 폭발 직전으로 내몰았다. 결과에 관계없이 러시아는 더 이상 반란 이전의 국가로 돌아갈 수 없다.” 유사하게, 중국 공산당 중앙선전부에서 운영하는 간행물인 차이나 데일리(China Daily)는 바그너 그룹 사건에 대한 보도에서 이 사건을 우려하는 두 명의 중국 학자를 인용했다.

 

그러한 논평은 중국이 러시아에 이제 러시아가 집을 정리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하는 미묘한 방법일 수 있다. 이러한 견해는 또한 중국과 러시아가 서로 다른 정치 체제이며 중국이 항상 러시아와 보조를 맞추지는 않을 것임을 외부 세계에 상기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동시에 중국 정부는 중국이 러시아와의 전략적 동반자 관계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는 이야기를 하지 않기 위해 고심할 것이다. 중국 환구시보(Global Times)는 푸틴에 대한 중국의 “베팅”이 실수였다는 서방 언론의 보도를 일축했다. 이러한 주장들은 중국에서 중-러 관계를 해치려는 음모로 간주될 것이다.

그렇다면 바그너 그룹 반란 사건은 푸틴 대통령에 대한 중국의 지지에 영향을 미칠까?

중국 정부는 여전히 푸틴이 러시아 안정을 위한 최고의 적임자이며 푸틴을 지지/지원하는 것이 양국 관계의 핵심 토대라고 믿고 있을 것이다. 일부 중국 평론가들은 푸틴이 피를 거의 흘리지 않고 빠르게 승리를 거두었다고 언급했다. 그들이 옳을 수도 있다. 반란 사건이 당혹스러운 일로 널리 여겨지지만, 서방의 많은 관찰자들은 푸틴이 이 위기에서 살아남을 것이라고 믿고 있다.

 

러시아 측에서는 우크라이나 전쟁에서의 중국의 중요성을 고려할 때, 중국이 푸틴에 대한 지지를 분명히 표명할 것으로 기대한다. 이전 중국과 러시아가 친밀했을 때, 그러한 지지는 기대되고 또 중요했다. 1957년 소련 지도자 니키타 흐루시초프가 폭동을 간신히 진압했을 때, 그는 중국이 자신의 승리를 축하하자 이에 너무나 감사했고 그래서 그는 중국에게 핵무기를 주겠다고 약속했다.

 

반란 사태가 더 진행됐다면 중국이 이에 어떻게 반응했을지에 대해선 의문이 있다. 역사를 살펴보면 중국이 아마 이 사태에 개입하려는 유혹을 받았을 수도 있지만 중국은 그러한 행동이 직면할 도전을 이해하고 있었을 것이다.

 

예를 들어, 1991년 당시 미하일 고르바초프 대통령에 대한 소련 강경파의 쿠데타 시도가 있었을 때, 중국의 일부 지도부는 소련에 대한 경제적 지원 제공을 고려했다. 오랜 소련 회의론자였던 중국 지도자 덩샤오핑은 이러한 계획을 중단시켰고 결국 쿠데타는 실패했다.

중국인들은 바그너 그룹 반란 사건으로부터 그들 자신의 시스템에 대해 어떤 교훈을 얻었을까?

러시아에서 일어난 사건이 역사적으로 자국에 대한 중국인들의 생각을 어떻게 변화시켰는지 정확하게 설명하기는 어렵다.

 

중국 공산당의 탄생, 문화대혁명, 1970년대 후반부터 시작된 경제 개혁·개방 프로그램, 소수민족에 대한 정책 등 이 모든 것들은 일부 중국인들이 러시아인들이 옳은 일 또는 그른 일을 하고 있다는 생각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그러나 중국의 많은 사람들은 오늘날 러시아와 중국이 얼마나 많은 공통점을 가지고 있는지 궁금해할 것이다. 푸틴 대통령과 시진핑 주석은 확실히 보수적이고, 서구에 대해 회의적이며, 국가주의적인 “선택적 유대 관계”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시진핑 주석의 부패와의 전쟁과 마오쩌둥 주석이 말했듯이 중국 공산당의 “총에 대한 통제”는 실질적으로 차이가 있다.

 

중국인들은 바그너 그룹 반란과 같은 그러한 반란을 상상하기 힘든 그들 자신의 시스템에 자부심을 가질 것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것에 대해 떠들지 않도록 조심할 것이다.

First published in :

The Conversation

바로가기
저자이미지

Joseph Torigian

Joseph Torigian 은 미국 아메리칸대 국제관계 스쿨 조교수이다. 그의 연구 분야는 권위주의 정권의 정치, 특히 엘리트간 권력 투쟁, 민군관계, 그랜드 전략이다.  

Thanks for Reading the Journal

Unlock articles by signing up or logging in.

Become a member for unrestricted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