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plomacy
해외 망명 중인 러시아 야당 세력이 러시아에 영향을 미치려고 시도하다
 
          Image Source : Shutterstock
Subscribe to our weekly newsletters for free
If you want to subscribe to World & New World Newsletter, please enter 
 your e-mail
Diplomacy
 
          Image Source : Shutterstock
First Published in: Oct.10,2023
Oct.27, 2023
지난 주말 러시아 정부와 긴밀한 유대관계를 맺고 있는 텔레그램 채널 “Nezygar”에는 러시아 해외 망명자들 사이에 만연한 자유주의적 입장을 비판하는 게시물이 쏟아졌다. 채널 전문가와 게시물 저자들은 현재 해외에 망명중인 소위 “비체계적 야당”이 러시아에 실질적인 추종자를 충분히 확보하고 있지 못할 뿐만 아니라 서구에서도 진정한 정치적 대표성과 영향력이 부족하다는 데 동의했다(T.me/russia2, 10월 7일).
이 게시물의 작성자는 러시아의 내부 상황에 영향을 미치려는 사람들은 주로 정치적 실체를 갖지 못한 언론인과 활동가들이라고 지적한다. 러시아 정부 산하의 분석가들은 해외에 있는 러시아 반체제 인사들이 “국민과 단절/유리”되어 있으며, 우크라이나 전쟁에 대한 그들의 반대 입장 때문에 러시아군과 한마음이 된 일반 러시아인들의 마음을 움직이는 그들의 능력이 크게 약화되고 있다고 강조한다(T.me/russia2, 10월 7일).
더욱이, “Nezygar” 게시물의 저자들은 러시아 야당 세력과 해외에 기반을 두고 활동하는 러시아 출신 언론인들이 서방의 자금에 크게 의존하고 있으며 그들의 견해로는 “해외 정보 기관에 의존하고 있다”고 강조한다. 러시아 야당 세력과 해외에서 활동하는 러시아 언론인들은 러시아 내 상황에 영향을 미칠 수 없기 때문에 서구에서는 특별히 선호되지 않는다. 역설적이게도 그들의 존재 자체가 러시아에 대항하는 서구 사회의 통합을 방해한다(T.me/russia2, 10월 7일).
러시아 야당 세력과 해외 언론 주장에는 상당한 선전 요소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 분명하다. 그러나 러시아 내 잠재적 청중과 소통하는 데 있어서 러시아 야당 세력은 자신들이 직면한 도전을 무시할 수 없다. 이들이 직면한 문제 중 상당수는 객관적이고 피할 수 없는 문제인데 크렘린은 교묘하게 이들 문제들을 악용하고 있다.
무엇보다도 망명 중인 러시아 반체제 인사들은 분열되어 있다는 비판을 자주 받는다. 하지만 실제 러시아 야당 세력은 몇 가지 예외를 제외하면 비교적 성공적으로 동맹을 형성했으며 이미 핵심 문제에 관해 자체적으로 협상할 수 있는 능력을 보여주었다(EDM, 5월 9일 참조). 문제는 우크라이나와의 전쟁 종식, 푸틴 정권 전복(Change.org, 4월 30일) 등과 같이 이들 러시아 반체제 인사들이 공유하는 주요 이슈가 러시아 내에서 “부정적”으로 간주된다는 사실이다.
러시아에서 진정한 연방주의 및 의회주의를 확립(Meduza, 2022년 10월 31일)해야 한다는 주장과 같이 대부분의 반체제 인사들이 내세우는 다른 원칙들도 러시아 다수의 러시아인에 의해 종종 무시된다. 결과적으로 외부 관찰자들은 러시아 야당 세력이 건설적인 의제와 미래에 대한 비전이 부족하다는 인상을 받는다.
그러나 러시아의 미래 구조와 개별적인 정치 프로그램에 대한 구체적인 비전은 다양한 야당 세력 간에 차이가 있다. 이러한 다양성은 타협과 공정한 선거를 통해 의견 차이가 해결되어야 하는 민주 사회에서는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야당 세력 간 이러한 객관적인 차이는 선전에 널리 활용되어 러시아 야당 세력은 공유하는 긍정적인 정치적 의제가 부족하다는 인상을 남긴다(RIA Novosti, 2021년 2월 21일).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러시아 야당 세력 내에서 의견 일치가 부족하다. 예를 들어, 일부 야당 대표들은 현 단계에서 정권 교체는 무력이나 무력의 위협을 통해서만 이루어질 수 있다고 믿고 있다(포럼 데일리, 5월 5일). 다른 야당 대표들은 무장 투쟁에 단호히 반대한다(Тwitter.com /Lev_ Ponomarev, 6월 3일). 이러한 야당 세력 내 분열은 공적 영역에서 서로 다른 정치 집단 간의 간헐적인 경쟁과 결합되어 야당 세력내의 의견 불일치라는 인상을 더욱 악화시킨다(Meduza, 10월 2일).
게다가 해외에서 활동하는 야당 성향의 러시아 언론인들이 자신의 관점을 러시아 대중에게 전달하는 것은 객관적으로 어렵다. 9월 말 파리에서 열린 Russie Libertés 라는 반전(反戰)이니셔티브 포럼에서 The Republic 잡지 편집장인 Dmitry Kolezev는 정보 봉쇄와 자금 부족이 러시아 야당 세력 언론의 가능성을 심각하게 제한한다고 지적했다. 대다수의 사람들이 접근이 제한된 콘텐츠에 접근하려는 노력을 별로 하지 않는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이것은 특히 중요하다(Youtube, 10월 4일).
반전 이니셔티브 포럼 참가자들은 또한 러시아 청중과 공통점을 찾는 데 있어 몇 가지 어려움을 토로했다. 예를 들어, 우크라이나가 러시아와의 전쟁에서 승리해야 한다는 주장은 러시아 국내 청중의 반대에 직면할 수 있다. 이 포럼 참가자들은 러시아 청중들과 점진적으로 소통하고, 그들의 언어로 말하며, 보다 수용 가능한 아이디어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Dmitry Kolezev에 따르면 그러한 아이디어 중 하나는 우크라이나 전장(戰場)에 동원된 사람들의 복귀일 수 있다(Youtube, 10월 4일).
더욱이, 실제 망명 중인 러시아 언론인들은 러시아 청중들과 세심하게 맞춤화된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자원이 제한되어 있다. 그들의 “모호한” 표현은 그들이 망명해 활동하고 있는 국가 내에서 부정적인 반응을 유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트비아에서 러시아 야당 세력의 채널인 “Dozhd”의 허가가 취소된 요인 중 하나는 진행자 중 한 명이 러시아군에 대해 언급한 내용이었다. 구체적으로, 그 진행자는 러시아군을 ‘우리’ 군대라고 지칭하였고 또한 ‘Dozhd’ 보도 이후 군에 동원된 개인의 권리 침해 건수가 줄어들 것이라는 희망을 피력했다(Svoboda.org, 2022년 12월 6일).
이로 인해 복잡한 의존 관계가 만들어진다. 망명 중인 러시아 언론인들은 그들의 망명 국가에 의존하고 있다. 이러한 의존은 러시아 선전기관이 묘사하려는 것처럼 망명 국가의 정보 기관의 영향을 받는 것이 아니라 실제적인 측면에서의 의존을 의미한다. 망명 중인 러시아 언론인들은 망명 국가의 비자와 거주 허가가 필요한데, 특히 러시아 국민에 대한 새로운 제한이 도입되면서 비자와 거주 허가 취득은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다(BBC-러시아 서비스, 7월 18일).
이러한 어려움은 새로운 사회에 동화하려는 자연스러운 욕구와 결합되어 내부 정체성 갈등으로 까지 이어진다. 러시아의 청중은 이들 망명 러시아 언론인들의 이러한 심적 갈등을 예리하게 느끼고 있으며, 결국 이들 언론인들은 “외국의 스파이 요원”으로 낙인 찍히면서 더욱 상황이 악화된다. 사회학 여론 조사에 따르면, 러시아 사회가 우크라이나 전쟁을 치르면서 “애국적으로 통합”된 가운데 이러한 망명 러시아 언론인들을 “외국의 스파이 요원”으로 또 “러시아에 대한 서구의 부정적인 영향력의 통로”로 인식하는 러시아인들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 (Levada.ru, 1월 16일).
해외 망명 러시아 야당 인사들의 기본적인 생존 과제와 서구 국가에서 이들이 우크라이나 전쟁 반대 견해를 증명하려는 시도는 점점 러시아 사회에 체계적으로 영향을 미치려는 그들의 목표와 더욱 충돌하고 있다는 것이 분명해졌다. 물론 이것이 러시아 사회에 체계적으로 영향을 미치려는 해외 망명 러시아 야당 인사들이 자신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크렘린의 선전에 따라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다. 그러나 러시아 청중들의 근본적인 두려움과 그 촉발 요인을 이해하면서 정교하고 지나치게 급진적이지 않은 전략을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 서구 국가가 러시아 야당 활동가들을 위한 그러한 플랫폼을 구축해 준다면, 러시아에 영향을 미치려는 해외 망명 러시아 반체제 인사들의 능력은 크게 향상될 수 있다.
First published in :
 
        			Ksenia Kirillova 는 러시아 사회와 선전 행동을 주로 다루는 탐사 전문 기자이자 분석가이다. 그녀는 러시아의 소프트 파워와 외교정책에도 관심이 많다. 그녀는 수백편의 논문을 작성했는 데 대표적인 것으로 Atlantic Council 에서 발행된 러시아 선전과 스프트 파워가 있다. 이외에 그녀는 British Institute for Statecraft, Homeland Security Today, EU Today, the British-Canadian security project Defense Report, Kyiv Post and Euromaidan Press, Stop Fake project, Radio Free Europe/Radio Liberty (RFE/RL) 등에 기사와 논문을 실었다. 그녀는 Ural Worker (2008-2010년 기간)와 Ural branch of Novaya Gazeta (2011-2013년 기간)에서 언론인으로 일했다.
Unlock articles by signing up or logging in.
Become a member for unrestricted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