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plomacy
파키스탄의 정치 위기 - 변화 중인 국가
Image Source : Shutterstock
Subscribe to our weekly newsletters for free
If you want to subscribe to World & New World Newsletter, please enter
your e-mail
Diplomacy
Image Source : Shutterstock
First Published in: Dec.01,2023
Dec.01, 2023
예측할 수 없는 정치 체제와 빠르게 악화되는 경제 등 최근 파키스탄의 상황은 국가의 중심부에서 불안정성을 드러내며 복잡하면서도 섬세한 파키스탄 내 권력 균형을 위협하고 있다. 임란 칸(Imran Khan)의 정치 연대기와 파키스탄 정치 체제에 대한 그의 배신적인 도전은 다가오는 선거를 앞둔 파키스탄에 뚜렷한 그림자를 드리우고 있다. 작년 전직 크리켓 선수인 임란 칸 총리의 축출과 이후 그가 겪은 광범위한 법적 시련은 파키스탄의 기득권 정치 세력의 견고함을 보여준다. 칸 총리 축출 이후 등장한 과도 정부는 집권 첫 해에 지속적인 충격과 비극을 겪었다. 칸 축출을 둘러싼 격동적인 상황 속에서, 내년 초 다가오는 총선을 향한 준비 과정은 이 나라의 최근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시기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3번 총리를 역임한 바 있는 나와즈 샤리프(Nawaz Sharif) 전(前) 총리가 최근 정치권에 복귀함에 따라 상황은 여전히 복잡하고 역동적이다.
1971년 방글라데시가 폭력 무장 투쟁 이후 파키스탄으로 부터 독립하였다. 이후 파키스탄은 간헐적인 군사 독재와 민간 통치 시대 사이를 반복했다. 민간 통치 시대는 부토 총리와 샤리프 총리 시대로 대표된다. 부토와 샤리프 총리 가문은 각각 당시 집권당인 파키스탄 인민당(PPP)과 다양한 형태의 파키스탄 이슬람 연맹 나와즈(PMLN)를 통해 오랫동안 민간 통치를 지배해 왔다. 그러나 이러한 민간 정부 통치 기간 동안에도 파키스탄군은 은밀한 방식으로 국내 정치에 대한 지배적인 영향력을 유지해 왔다. 실제로, 파키스탄군은 종종 파키스탄의 ‘킹메이커’로 간주된다.
파키스탄은 4개의 주(州) (발루치스탄, 펀자브, 카이베르파크툰크와, 신드)와 2개의 행정 구역 (아자드 잠무 카슈미르와 길기트-발티스탄)으로 나뉜다. 수도 이슬라마바드는 별개의 연방 영토로 운영된다. 이러한 행정 구역 구분은 일반적으로 해당 구역의 언어적, 민족적 특성으로 구별되지만 이들 각 지역은 독특한 투표 패턴으로 구분되기도 한다. 실제 파키스탄의 주요 정당은 종종 이러한 지역적 구분을 따라 스스로를 정의해 왔다. 예를 들어, 신드주(州)는 역사적으로 파키스탄 인민당의 지지 근거지인 반면, 파키스탄 이슬람 연맹 나와즈는 일반적으로 펀자브주(州)에서 선호되었다. 펀자브주(州) 지역은 파키스탄에서 가장 인구가 많기 때문에 파키스탄 정치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실제로 파키스탄 정부는 펀자브주(州)에서 다수결 투표를 통해 구성되는 경우가 많다.
1990년대 후반 임란 칸이 ‘정의를 위한 운동: PTI)’ 정당을 창당하면서 견고한 정치 기득권 세력이 정의하던 파키스탄의 정치적 현상이 크게 바뀌었다. ‘정의를 위한 운동’ 당(黨) 창설 당시 칸은 영국 옥스퍼드 유학 시절 플레이보이 생활 방식과 1992년 파키스탄을 사상 최초의 크리켓 월드컵 우승으로 이끈 국제적 스타덤으로 이미 파키스탄에서 가장 잘 알려진 인물로서의 입지를 확고히 했다. 당의 대표 인물이 널리 알려졌음에도 불구하고 ‘정의를 위한 운동’ 당(黨)은 창립 후 처음 수십 년 동안 거의 성공하지 못했다. 한 선거에서 당이 얻은 유일한 의회 의석은 칸 자신이었다. 그러나 ‘정의를 위한 운동’ 당(黨)은 2018년 총선에서 승리하여 역사적으로 유례없는 순간을 경험했고, 특히 펀자브주에서 가장 많은 표를 얻은 정당이 되었다. 이로 인해 파키스탄 이슬람 연맹 나와즈의 지역 거점이 탈환되었다.
완벽한 정치적 상승 기류을 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칸의 총리직은 2022년 4월 그에 대한 불신임 투표로 인해 단축되었다. 총리로서 칸은 의회를 해산하여 이 투표를 막으려고 시도했는데 대법원은 신속하게 칸의 의회 해산이 위헌이라는 판결을 내렸다. 칸은 그의 재임 기간 동안 그가 러시아와 중국에 대한 지지를 줄이지 않는다고 비난하며 자신을 축출하려는 미국의 지원을 받는 음모가 있다고 지속적으로 주장했다. 예를 들어, 칸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직전에 푸틴 대통령을 만나기 위해 러시아를 여행했다. 그는 군부 엘리트들이 미국의 이익에 반하는 그의 이러한 움직임 때문에 자신을 축출했다고 주장하였다. 칸이 총리직에서 해임된 후 셰바즈 샤리프(3선 총리이며 최근 귀국한 나와즈 샤리프의 형제)가 임시 총리직을 맡았다. 칸의 축출 여파로 파키스탄내 정치적 긴장이 고조되었다. 다음 해에는 칸의 정치적 미래를 위한 투쟁이 목격되었는데 이것은 파키스탄 전역의 광범위한 시위로 표출되었다.
칸의 운명은 광범위한 법적 공방과 일련의 주장을 통해 시험대에 올랐다. 칸에 대한 첫 번째 체포는 여러 부패 혐의에 근거한 것이었다. 하지만 그는 이 혐의를 지속적으로 부인했다. 이러한 공격은 칸 전(前) 총리로 하여금 자신을 고전적인 포퓰리즘 방식으로 묘사하게 만들었다. 칸에 대한 계속되는 법적 고발과 조치들은 국민 의지의 진정한 대표자로서 부패한 기득권층에 대항하여 싸우는 그의 이미지만 촉진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4월에 칸이 처음으로 체포되었을 때 많은 일반 대중이 시위에 나섰고 이들은 지난 몇 달 동안 끓어오르던 불만을 토로했다. 칸의 주장에 따라 ‘정의를 위한 운동’ 당(黨) 지지 시위대들은 파키스탄군을 향해 분노를 쏟아냈다. 라호르에 있는 육군 사령관의 관저와 라왈핀디에 있는 육군 본부가 모두 시위대의 표적이 되었다.
칸을 둘러싼 광범위한 법적 싸움으로 파키스탄 법원과 군 사이에 이전에는 볼 수 없었던 균열이 드러났다. 파키스탄군은 오랫동안 사법 체계에 지배적인 영향력을 행사해 왔으며, 많은 경우 은밀하게 판결을 지시해 왔다. 반체제 인사를 제거하거나 언론인을 쫓아내는 것이 군에 이익이 되는 경우 법원은 군에 법적 도움을 제공했다. 실제로 파키스탄 법원은 세 번의 군사 쿠데타에 대해 법적 승인을 제공하기도 했다. 그런데 칸이 체포된 직후 대법원은 칸에 대한 체포 행위가 불법이라고 선언하고 즉시 석방을 명령하였다. 더욱이 이슬라마바드 고등법원은 칸이 연루된 여러 부패 사건에 대해 칸에게 선제적으로 보석을 허용했다. 파키스탄의 정치 영역에서 독립적인 권력 중재자로서의 사법부의 출현은 역사적으로 전례가 없는 일이다. 칸의 부패 척결 캠페인에 대한 법원과 군부 간 이해 충돌은 2018년 칸의 성공적인 권력 쟁취를 촉진했다. 궁극적으로 칸의 생존을 보장한 것은 이러한 강압적 국가 기관 간 동맹의 붕괴이며, 대법원은 파키스탄 정계에서 칸을 영구적으로 제거하려는 파키스탄군의 시도를 훼손시키는 여러 판결을 내렸다.
그러나 최근의 법적 소송에서 파키스탄 법원이 다시 한번 군부의 손아귀에 들어가게 되면서 칸을 보호했던 법원의 판결들은 일시적인 예외적 현상으로 치부되었다. 8월 5일에는 칸이 다시 체포되었고, 이것은 수개월 간의 혼란의 정점을 의미했다. 칸의 또다른 체포는 전년도에 진행되었던 정치 드라마에 대한 상당한 반전이었다. 최종 판결에서 칸은 금융 부패 혐의로 3년 징역형을 선고받았다. 이 3년 기간 동안 그는 공직에 출마할 수 없다. 체포 후 칸은 자신의 개인 트위터에 지지자들에게 즉각적으로 시위에 나서줄 것을 요청하는 영상을 올렸다. 국가와의 싸움이 점점 더 무의미해짐에 따라 칸의 정치적 미래는 점점 어두워 보인다. 칸의 정치적 미래가 어두워질 것이라는 주장은 그에 대한 추가적인 법적 소송이 제기됨에 따라 더욱 강화되었다. 칸은 미국이 2022년 그의 정부를 몰락시키기 위해 파키스탄군에 압박을 가했다는 것을 증명하는 비밀 문서를 유출한 혐의를 받고 있다. 칸의 주장이 정당하다는 증거임이 입증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그 증거는 아직 공개되지 않았다. 이제 이 증거가 공개될 가능성은 매우 희박하다.
칸의 체포로 과도정부가 탄생했다. 3번 총리를 역임한 나와즈 샤리프의 남동생인 셰바즈 샤리프가 과도정부를 이끌게 되었다. 지난 달에는 의회 임기가 끝나자 셰바즈 샤리프가 사임했다. 현재 과도 임시정부가 통치하고 있는 파키스탄은 선거 이후 선제적으로 정부를 수립할 것으로 보인다. 당초 올 11월 선거를 실시할 계획이었으나 연기됐다. 연기 이유는 과도 정부가 인구 조사를 완료하여 유권자 명부를 다시 작성할 수 있도록 허용하기 위함이다. 파키스탄의 정치사 전반을 통해 설명된 바와 같이, 국가의 정치적 움직임의 많은 부분은 국민의 민주적 의지가 아닌 군부 엘리트의 행동에 더 관심을 기울이는 것으로 보인다. 10월 말, 나와즈 샤리프는 라호르에서 수천 명의 파키스탄 이슬람 연맹 나와즈 지지자 앞에 섰는데 이것은 망명지 영국에서 그가 돌아왔다는 것을 알리고 기념하는 성대한 몸짓이었다. 최근까지 총리로 일했던 셰바즈 샤리프의 형인 나와즈 샤리프는 파키스탄 정치계의 유명한 인물이다. 이번이 그의 네 번째 권력 도전인데, 이전 세 번 총리로 일한 바 있어 그는 파키스탄에서 가장 오랫동안 총리로 재임한 인물로 기록되어있다. 영국에서 인위적으로 병가를 연장해 7년의 징역형을 면했던 나와즈 샤리프는 파키스탄에 재입국할 때 체포될 염려 같은 것은 하지 않은 사람처럼 보였다. 나와즈 샤리프가 도착하기 직전 그는 이슬라마바드 고등 법원으로부터 보호 보석을 허가받았다. 그의 남동생인 셰바즈 샤리프가 총리로 임명된 것은 확실히 나와즈 샤리프가 파키스탄 정치 체제로 재진입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었다. 칸과 마찬가지로 파키스탄 군부는 자신의 이익에 따라 나와즈 샤리프에게 보상을 제공하거나 또는 처벌을 가했다. 2017년 나와즈 샤리프를 체포했던 파키스탄 군부 엘리트들은 이제는 그의 정계 복귀를 도우고 있다. 2018년 총선에서 파키스탄 이슬람 연맹 나와즈가 펀자브주에서 ‘정의를 위한 운동’ 당에게 패했음에도 불구하고 나와즈 샤리프의 복귀 신호가 펀자브주의 최대 도시이자 주도인 라호르에서 나오고 있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파키스탄에서 호의 또는 기호 변화의 바람이 주요 정당의 근거지에서 불고 있는 것은 분명하다. 변화의 바람이 성공할 것인지 실패할지는 궁극적으로 파키스탄 군부 엘리트의 의지에 달려 있다. 파키스탄의 국내 정치 갈등은 엘리트의 정치 책략의 영역에 속해 있지 않다. 파키스탄 국민은 심각한 국가 재정 부실의 피해자이다. 실제로 파키스탄은 매달 겨우 겨우 살아가고 있다. 국제통화기금(IMF) 지원이 없다면 6개월 이내에 국가 채무 불이행 가능성이 거의 100%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샤리프 정부는 파키스탄이 2019년에 국제통화기금으로 받은 구제 금융 65억 달러 중 남은 25억 달러의 일부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노력했다. 국제통화기금 프로그램은 7월 말 만료될 예정인데 파키스탄 정부는 그달 중순 25억 달러 돈을 확보할 수 있었다. 파키스탄이 다시 재정 위기에 빠지지 않으려면 최근 제안된 파키스탄 정부 예산이 IMF의 요구를 충족해야 한다. 더욱이 과도 정부는 임기 초기 파키스탄의 대부분 지역을 침수시킨 전년도의 충격적인 홍수 문제 처리로 고전하고 있다. 재건과 취약계층 보호에 필요한 재원은 국내에서는 전혀 이용할 수 없으며, 해외 원조와 투자도 턱없이 부족하다. 파키스탄이 기후 변화로 인한 위협으로 인해 심각한 위험에 처해 있는 상황에서 미래 기후 안보를 보장하기 위한 재정 자원을 확보할 수 있느냐의 문제는 실존적 위협의 문제이다. 그러나 이슬라마바드의 내부 권력 정치와 왕정 정치로 인해 정치가 법원과 정부 부처의 한계를 벗어날 시간이 거의 없었다.
파키스탄 이슬람 연맹 나와즈는 역사적으로 펀자브주 전역에서 상당한 지지세를 유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당의 모습을 현대화하고 바꾸어야 한다. ‘정의를 위한 운동’ 당(黨)은 오랫동안 소셜 미디어를 효과적으로 활용해 왔다. 이러한 소셜 미디어의 사용은 모국과 온라인으로 소통할 수 있는 파키스탄계 이주민/이민자에게 특히 매력적이다. ‘정의를 위한 운동’당 정치인 여러 명이 제명되면서 당은 심각한 상황에 처해 있다. 실제 ‘정의를 위한 운동’ 당원들에 대한 마녀사냥은 몇 주 동안 지속됐다.
전년도에는 파키스탄에 위기가 닥쳤다. 칸이 총리직에서 축출된 이후 과도 정부는 국가의 미래를 위해 정치적 투쟁을 벌여왔다. 과도 정부에 대한 칸의 계속되는 투쟁은 역사적으로 하나의 불문율이었던 의회, 대법원, 군 사이의 미묘한 권력 균형이 해체되었음을 드러냈다. 이러한 위기 상황에 대한 과도 정부의 관리는 과도 정부 출범 이후 그 존립 자체를 뒤흔드는 여러 국내 문제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 파키스탄에서는 정치가 빠르고 예측 불가능하게 진행된다. 나와즈 샤리프 전(前) 총리의 귀환과 칸 체포에 항의하는 시위로 선거를 앞둔 몇 달 동안에는 무슨 일이든 일어날 수 있다. 통제의 판돈이 지금보다 더 높았던 적이 없다.
참고 자료
[1] - “설명자: 파키스탄의 주요 정당”, 알 자지라, 2013년 5월 6일 https://www.aljazeera.com/news/2013/5/6/explainer-pakistans-main-political-parties
[2] - “파키스탄 Tehreek-e-insaaf: 파키스탄의 대표적인 포퓰리즘 운동”, 포퓰리즘 연구, 2021년 2월 3일 https://www.populismstudies.org/pakistan-tehreek-e-insaf-pakistans-iconic-populist-movement/
[3] - “파키스탄 법원, 대통령의 의회 해산 움직임은 위헌이라고 판결”, NPR 뉴스, 2022년 4월 7일 https://www.npr.org/2022/04/07/1091487882/pakistan-court-rules-presidents-move-to-dissolve-parliament-is-unconstitutional
[4] - “임란 칸이 의회 투표 후 파키스탄 총리에서 축출되었다”, BBC 뉴스, 2022년 4월 10일 https://www.bbc.com/news/world-asia-61055210
[5] - “임란 칸 전 파키스탄 총리가 준군사 경찰에 의해 체포되었다”, CNN 뉴스, 2022년 5월 9일 https://edition.cnn.com/2023/05/09/asia/imran-khan-arrest-intl/index .html
[6] - “파키스탄의 전 지도자 임란 칸이 체포되었다”, The New York Times, 2023년 5월 9일 https://www.nytimes.com/2023/05/09/world/asia/imran-khan-arrest -pakistan.html
[7] - “파키스탄의 강력한 군대, 법원의 새로운 저항에 직면하다”, The New York Times, 2023년 5월 31일 https://www.nytimes.com/2023/05/31/world/asia/pakistan-courts-challenge-military .html
[8] - “파키스탄의 강력한 군대, 법원의 새로운 저항에 직면하다”, The New York Times, 2023년 5월 31일 https://www.nytimes.com/2023/05/31/world/asia/pakistan-courts-challenge-military .html
[9] - “파키스탄의 강력한 군대, 법원의 새로운 저항에 직면하다”, The New York Times, 2022년 5월 31일 https://www.nytimes.com/2023/05/31/world/asia/pakistan-courts-challenge-military .html
[10] - “이슬라마바드 법원, 임란 칸 보석 석방” The Diplomat, 2023년 5월 12일 https://thediplomat.com/2023/05/islamabad-court-grants-imran-khan-bail/#:~:text=Friday %E2%80%99s%20ruling%20by%20the%20Islamabad%20High%20Court%20gave,보통%20is%20갱신%20in%20the%20Pakistan%20judicial%20system
[11] - “임란 칸: 전 파키스탄 총리, 징역 3년 선고”. The Guardian, 2023년 8월 5일, https://www.theguardian.com/world/2023/aug/05/former-pakistan-prime-minister-imran-khan-jailed-for-three-years
[12] – “파키스탄 법원, 암호 사건에 연루된 임란 칸 전 총리의 구금 기간 연장” 임란 칸 뉴스 | 알 자지라
[13] – “파키스탄 임란 칸 전 총리 구속 연장” https://apnews.com/article/pakistan-imran-khan-custody-extended-3da6e3a8ae98378f13ab94bce9f3802c
[14] – “임란 칸의 가족은 전 파키스탄 총리가 감옥에서 살해될지도 모른다고우려한다https://www.abc.net.au/news/2023-09-22/imran-khan-family-fear-former-pakistan- pm-may-be-kill-in-prison/102870032
[15] – "파키스탄은 나와즈 샤리프가 네 번째 총리로 주목을 받으면서 미래를 바라본다." https://www.theguardian.com/world/2023/oct/27/pakistan-looks-back-to-the-future- as-nawaz-sharif-eyes-fourth-stint-as-pm
[16] – “파키스탄은 나와즈 샤리프가 네 번째 총리로 주목을 받으면서 미래를 바라본다.” https://www.theguardian.com/world/2023/oct/27/pakistan-looks-back-to-the-future- as-nawaz-sharif-eyes-fourth-stint-as-pm
[17] – “파키스탄 전 총리 나와즈 샤리프, 정치적 복귀를 위해 망명에서 돌아올 것” https://www.theguardian.com/world/2023/oct/21/pakistans-ex-pm-nawaz-sharif-to-return-from-exile-for-political-comeback
[18] - “파키스탄은 예산을 책정했지만 IMF를 만족시키지 못할 수도 있다”, Al Jazeera, 2023년 6월 9일, https://www.aljazeera.com/economy/2023/6/9/pakistan-lays-out-budget-but--may-not-satisfy-imf
[19] - “파키스탄은 예산을 책정했지만 IMF를 만족시키지 못할 수도 있다”, Al Jazeera, 2023년 6월 9일, https://www.aljazeera.com/economy/2023/6/9/pakistan-lays-out-budget-but-may-not-satisfy-imf
[20] - “파키스탄의 IMF 협정이 경제를 구할 것인가”, Al Jazeera, 2023년 7월 14일, https://www.aljazeera.com/news/2023/7/14/will-pakistans-imf-agreement-save-its -economy#:~:text=The%20International%20Monetary%20Fund's%20board,the%20South%20Asian%20country's%20economy
[21] - https://www.youtube.com/watch?v=KrYYsWXG2Z8 – (파키스탄 총리: ‘우리는 민주주의를 향한 갈림길에 서 있습니다’: 알 자지라와의 대화)
[22] - ‘파키스탄의 전 총리 나와즈 샤리프, 정치적 복귀를 위해 망명에서 돌아올 것’ https://www.theguardian.com/world/2023/oct/21/pakistans-ex-pm-nawaz-sharif-to-return -from-exile-for-political-comeback
First published in :
Joel Moffat는 영국에서 안보, 정보 및 전략 연구를 공부하는 2년차 대학원생이다. 그의 주요 연구 분야는 국제 지정학의 발전에서 국내 정치 과정과 국가의 외부 안보 차원 사이의 연결이다. 그는 특히 중동과 남아시아 국가의 정치적 발전에 관심이 많다.
Unlock articles by signing up or logging in.
Become a member for unrestricted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