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bscribe to our weekly newsletters for free

Subscribe to an email

If you want to subscribe to World & New World Newsletter, please enter
your e-mail

Defense & Security

대사관은 출입 금지 구역인가? 에콰도르와 이스라엘의 행동은 그렇지 않음을 시사한다 - 그리고, 이는 위험한 외교적 선례를 남기고 있다

경찰, 키토 주재 멕시코 대사관 습격, 호르헤 글래스 체포

Image Source : Wikimedia Commons

by Jorge Heine

First Published in: Apr.09,2024

May.07, 2024

대사관은 다른 국가들에게 출입 금지 구역으로 취급되어야 한다고 오랫동안 여겨져 왔다. 그러나, 일주일 만에, 두 정부가 – 두 국가 모두 오랫동안 민주주의를 수립했다 - 다른 방식으로 외국 공관을 둘러싼 법들을 위반했다고 비난을 받고 있다. 

 

먼저, 2024년 4월 1일 다마스쿠스에 있는 이란 대사관이 이스라엘에 의해 폭격을 받아, 이란 이슬람 혁명수비대 쿠드스군의 고위 지휘관 몇 명이 사망했다. 그리고, 4월 5일에 에콰도르 경찰이 정치적 망명을 신청하던 에콰도르의 전 부통령을 체포하기 위해 키토에 있는 멕시코 대사관으로 강제 진입했다. 

 

두 행위 모두 국제법 위반과 공관 면책특권을 규정한 비엔나 협약(Vienna Convention)을 위반했다는 비난으로 이어졌다. 

 

대사관 생활에 대해 상당한 지식을 가진 사람으로서 – 중국, 인도,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칠레의 외교 수장으로 일했고 옥스퍼드 현대 외교 핸드북을 편집했다 – 국제 사회가 이 두 사건들을 보고 있는 것보다 더 큰 우려가 있다고 생각한다. 

 

고인이 된 사업가이자 대통령 후보였던 로스 페로의 유명한 말과는 달리, 대사관은 단순히 "항해선들이 다니던 시절의 유물"이 아니다. 오히려, 지정학적인 갈등, 대규모 이주, 전염병과 기후 변화로 인해 신중하고 안정적인 외교 관리가 필요한 점점 더 복잡해지는 세계에서, 대사관 규칙의 신성함을 잠식하는 사건은 심각한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간단히 말하면, 그 사건들은 더욱 위험한 세계를 만든다.

 

 

대사관 공격에 대한 호기심 어린 무관심


최근에 발생한 두 사건 중, 이란 대사관 폭파 사건은 인명 손실과 보복 공격에 대한 경고로 이어져서 더욱 심각하다. 

 

그러나, 소위 "규칙에 근거한 질서"를 유지하는 것에 대해 종종 우려를 표하는 서방 국가들은 그러한 행동을 비난하는 것을 꺼려왔다. 

 

유엔 안보이사회에서 미국, 영국, 프랑스 등 3개 자유민주주의 국가들은 이란 대사관에 대한 파업을 비난하기를 거부한 것은 주목할 만하다. 

 

이스라엘은 공식적으로 책임을 인정하지는 않았지만, 이란 대사관의 거주지는 외교적 장소가 아니라 "민간 건물로 위장한 군용 건물"이라고 주장했다. 이와 같이, 이스라엘에게는 완벽하게 합법적인 목표였다. 

 

그러나 이 논리에 따르면, 거의 모든 대사관이 공정한 게임으로 간주될 것이다. 규정에 의하면, 대다수의 대사관들은 - 특히 더 큰 국가들 - 상당한 수의 군대와 정보원들로 채워져 있다. 그러한 이유로 대사관들이 외교적 면책특권을 상실하고 무력 공격의 합법적인 목표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은 비엔나 협약 전체를 붕괴시킬 것이다. 그리고 그것과 함께 전세계적인 공식적 외교 상호작용의 기반이 되는 구조가 나타날 것이다.

 

 

기본적인 외교 원칙


인명 손실을 수반하지 않았기 때문에 덜 심각하지만, 에콰도르의 경우는 좀 더 복잡하고 약간 더 생각할 필요가 있다. 

 

에콰도르와 멕시코 간의 외교적 분쟁의 중심에는 2017년 부패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은 후 4년 동안 감옥에서 복역한 호르헤 글래스 전 에콰도르 부통령이 있다. 

 

글래스는 현재 다른 혐의로 재판을 받고 있으며, 2023년 12월 멕시코 대사관에 망명 신청을 했다. 멕시코는 그의 요청을 수락하고 에콰도르 정부에 이를 전달했다. 

 

멕시코는 글래스가 유죄 판결을 받은 중범죄자이기 때문에 정치적 망명을 허용할 수 없다는 이유로 멕시코 대사관에 경찰을 보내기로 한 결정을 정당화했다. 

 

이 주장에는 몇 가지 근거가 있다: 1954년 망명권에 관한 미국의 협약에 따르면, 유죄 판결의 배후에 있는 혐의가 정치적인 성격이 아니라면, 유죄 판결을 받은 중범죄자에게 정치적 망명을 줄 수 없다. 

 

그러나, 이와 동시에, 비엔나 협약(Vienna Convention) 제21조에는 공관은 완전한 면책특권과 치외법권을 향유한다고 명시되어 있다. 이는 주재국 정부가 외교 공관장의 허가 없이 대사관에 들어갈 권리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에콰도르는 멕시코가 외교적 면책특권을 남용해 경찰을 투입하는 것 외에는 선택의 여지를 남기지 않았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이것에 대해서 구분할 필요가 있다. 

 

외교 면제와 외국 공관의 치외법권은 비엔나 협약의 기본 원칙이다. 정치적 망명은 스스로 해결해야 할 별개의 문제이다. 

 

그와 같이, 에콰도르 정부는 글래스가 정치적 망명을 할 자격이 없다고 생각했다면, 법적으로 이동을 막거나 망명 신청자가 대사관을 빠져나와 그 나라를 떠날 수 있는 안전한 통로를 거부하려고 시도했을 수 있다. 그러나, 1954년 망명권에 관한 협약에 따르면, 이 사건이 정치적으로 동기가 있는지를 결정하는 것은 망명을 허가하는 국가에 달려 있기 때문에, 멕시코는 그러한 조치에 대항할 강력한 근거를 가지고 있을 것이다.

 

 

미래에 대한 시사점


망명의 사건과 관계없이, 대사관을 습격하기 위해서 SWAT 팀을 투입하는 것은 외교 규범을 의도적으로 위반하는 것이다. 

 

정부가 안전한 통행을 허용하지 않아서, 대사관 건물에 수년 동안 숨어 지냈던 라틴 아메리카 정치인들의 오랜 역사가 있다 - 가장 주목할 만한 사람은 리마의 콜롬비아 대사관에서 5년을 보냈던 페루의 지도자 빅토르 라울 하야 데 라 토레이다. 

 

그러나, 몇 가지 예외를 제외하고, 1960년대와 1970년대 라틴 아메리카 군사 독재의 가장 어두운 시기에도, 망명 신청자들을 체포하기 위해 경찰이 대사관 건물에 들이닥치는 것을 허용하지 않았다. 

 

이것은 에콰도르의 행동이 특히 우려할 만하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정확하게 말하자면, 라틴 아메리카의 정치적 불안정 문제와 군사 쿠데타의 전통 때문에 정치적 망명과 외교적 면책을 둘러싼 법이 필요하다. 

 

에콰도르가 가지고 있는 방식으로 비엔나 협약을 훼손하는 것은 다른 정부들이 따르고 싶은 선례를 만들 위험이 있다. 

 

라틴 아메리카의 정치적 망명은 전통적으로 안전판 역할을 해왔고, 폐위된 지도자들이 해를 입지 않도록 해주었다. 

 

망명을 지원하는 외교 구조를 약화시키면 민주적 붕괴를 다루는 것이 더 어려워질 것이다. 또한 지역 간 갈등을 악화시킬 위험도 있다. 대사관 습격으로 인하여 이미 멕시코와 에콰도르의 관계가 단절되는 것을 보고 있다.

 

 

외교를 더 어렵게 만드는 것


물론 대사관 침입은 전례가 없는 게 아니다. 과테말라의 독재 정권은 1980년 과테말라 시티에 있는 스페인 대사관을 공격하여, 전 부통령을 포함하여 여러 명의 망명 신청자를 살해했다. 그리고, 우루과이의 군사 정부는 1976년 몬테비데오에 있는 베네수엘라 대사관에 보안군을 파견하여 망명을 신청한 좌익 무장 세력을 체포해서 양국 간의 외교 관계가 파탄에 이르렀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먼 과거의 그러한 사건들은 당시 국제 협약을 거의 고려하지 않은 권위주의 정권의 산물로서 널리 비난받았다. 

 

이스라엘과 에콰도르의 대사관 침입에 대한 국제사회의 비교적 완화된 태도는 외교적 면책 특권과 규범을 약화시키는 것의 중요성을 이해하지 못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국제 문제가 증가함에 따라, 대사관과 그 대표자들은 더 중요해지고 있다. 

 

만약 이와 같은 두 번의 대사관 사건으로부터 나온 조치가 외교 장소의 보호가 어떤 특정한 날에 정치적으로 정략적인 것에 비해 부수적이라면, 이는 국제 관계에 커다란 손실을 줄 것이다. 외교는 훨씬 더 어려워질 것이다. 

 

그리고, 오늘날 세계가 직면한 엄청난 문제들을 고려할 때, 그것은 어떤 나라에게는 가장 필요하지 않는 것이다.

First published in :

The Conversation / USA

바로가기
저자이미지

Jorge Heine

하이네 대사의 전문 분야는 외교학, 국제관계, 남반구의 국제정치, 신흥강대국의 외교정책, 세계화, 다자주의, 민주주의 증진, 민주주의 전환, 전환기 정의를 비롯해 중국, 인도, 라틴아메리카 등이다. 

Thanks for Reading the Journal

Unlock articles by signing up or logging in.

Become a member for unrestricted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