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fense & Security
남코카서스의 안보 복합체와 세계 지정학에서 그것의 역할

Image Source : Shutterstock
Subscribe to our weekly newsletters for free
If you want to subscribe to World & New World Newsletter, please enter
your e-mail
Defense & Security
Image Source : Shutterstock
First Published in: Feb.17,2025
Feb.17, 2025
초록
이 짧은 분석서는 ‘안보 복합체 이론’에 기초해 작성되었다. 먼저 Barry Buzan과 Ole Wæver가 도입한 ‘안보 복합체’ 용어의 정의로 시작한다.
그런 다음 이 분석서 저자는 코카서스 국가(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 조지아)의 역사적 배경과 이들 국가와 러시아와의 관계를 간략하게 소개하고 기존 문헌을 참조하려는 사람들에게 추가 자료를 제공한다.
이 분석서는 코카서스 안보 복합체의 5가지 뚜렷한 구성 요소에 초점을 맞춘다. 이 5가지 요소에는 상호 연결된 안보 문제, 지리적 지역으로서의 독특성, 무정부적인 구조, 공유된 안보 역학, 그리고 위협의 사회적 구성이 포함된다.
이 분석서는 러시아와 미국이라는 두 강대국 그리고 유럽 연합과 관련해 코카서스 지역의 지정학적 중요성을 조사하고 마무리한다.
서론
독자의 편의를 위해 “안보 복합체”의 개념을 먼저 간략하게 설명하면서 이 글을 시작하겠다. “안보 복합체”라는 용어는 Barry Buzan과 Ole Wæver가 1998년 그들의 저서 ‘Security: A New Framework for Analysis’에서 처음 소개했다. “안보 복합체”라는 용어는 안보 문제가 상호 연결된 독특한 지리적 영역을 말한다. 즉, 이 복합체 내 한 국가의 안보는 다른 국가의 안보와 불가분의 관계로 연결되어 역동적이고 종종 불안정한 환경을 조성한다. 이 “안보 복합체” 개념의 핵심 요소는 다음과 같다: a) 상호 연결된 안보 문제 - 안보 복합체는 한 국가에 대한 위협이 다른 국가에 대한 위협으로 인식되는 안보 상호 의존성의 망(網)으로 특징지어지며, 이로 인해 취약성에 대한 인식이 공유되고 집단적 안보 조치가 필요하게 된다; b) 독특한 지리적 지역 - 안보 복합체는 지리적으로 정의된다. 일반적으로 범위가 지역적이지만 때로는 보다 중요한 지역을 포함하기도 한다. 복합체 내 국가 간 지리적 근접성은 안보 문제의 상호 연결성에 기여한다; c) 무정부적 구조 - 국제 사회 시스템과 마찬가지로 안보 복합체는 무정부적 구조 내에서 운영된다. 어떤 규칙을 집행하거나 긴장과 갈등을 고조시킬 수 있는 분쟁을 해결할 수 있는 포괄적인 권한을 가진 기관이 없다; d) 안보 복합체 내의 국가들은 군비 경쟁, 동맹 형성, 분쟁 도미노와 같은 전형적인 안보 역학을 공유한다. 이러한 역학은 자체 강화되는 안보 불안의 악순환을 만든다; e) 위협의 사회적 구성 - 안보 복합체의 개념은 안보 위협이 객관적 현실이 아니라 사회적으로 구성된다는 것을 인식한다. 안보 복합체 내의 국가들은 위협을 구성하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한 공통된 이해를 공유하는데, 이 위협은 그들의 행동과 상호 작용을 야기시킨다.
동시에, 안보 복합체의 의미를 안보 공동체(회원국들 간의 공유된 정체성과 신뢰) 또는 안보 체제(국제 관계에서 행위자들의 기대가 수렴되는 일련의 원칙, 규범, 규칙 및 의사 결정 절차)의 개념과 혼동하지 않는 것이 현명할 것이다.
이 짧은 분석서는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 조지아의 세 국가에 초점을 맞추고, 특히 이들 국가와 러시아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안보 복합체 이론의 관점에서 2025년 초 이들 국가의 지정학적 상황을 탐구한다.
역사적 배경
흑해와 카스피해 사이에 자리 잡은 코카서스 지역은 격동적인 현대사를 가지고 있다.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 조지아는 각각 독특한 문화적, 역사적 궤적을 가지고 있으며 러시아 제국의 붕괴, 국가 건설, 분쟁이라는 복잡한 환경을 헤쳐 나갔다.
아르메니아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반, 당시 러시아 제국의 일부였던 아르메니아인들은 이웃 국가들, 특히 오스만 제국과 긴장 관계를 가졌다. 1차 세계 대전 중 오스만 제국이 저지른 학살로 150만 명의 아르메니아인이 떼죽음을 당했다. 러시아 제국이 붕괴된 후, 아르메니아는 1922년 소련 연방에 편입되기 전 잠시 독립을 경험했다. 1988년, 아르메니아는 지진과 나고르노카라바흐 지역을 둘러싼 아제르바이잔과의 분쟁으로 국토가 황폐해졌다. 1991년 소련 연방 붕괴로 아르메니아는 독립을 되찾았지만, 아제르바이잔과의 1차 나고르노카라바흐 전쟁을 치러야 했다.
아제르바이잔
러시아 제국의 일부였던 아제르바이잔은 1918년에 독립을 선언하여 아제르바이잔 민주 공화국을 수립했다. 하지만 독립은 단명에 그쳤고 1920년 아제르바이잔은 소련 연방에 편입되었다. 아르메니아와 마찬가지로 아제르바이잔은 1991년에 독립을 되찾았다. 나고르노카라바흐 분쟁은 소련 연방 붕괴 이후 아제르바이잔의 역사 대부분을 지배했으며, 엄청한 이주민 문제와 지속적인 긴장을 초래했다.
조지아
조지아 역시 1917년 러시아 제국이 붕괴된 후 독립을 선언했다. 하지만 독립은 오래가지 못했고, 1921년 소련 적군의 침략을 받아 소련 연방에 편입되었다. 조지아는 1991년 독립을 되찾았다. 소련 붕괴 이후의 시기는 압하지야와 남오세티야 전쟁을 포함한 조지아 내 분쟁과 민주적 제도를 수립하고 이어 서방과 긴밀한 관계를 맺으려는 노력으로 특징지어졌다.
남코카서스의 안보 복합체
지역 역학과 분쟁 - 주요 이슈
코카서스 지역은 민족-영토 분쟁, 특히 아르메니아와 아제르바이잔 간 나고르노카라바흐 분쟁에 시달렸다. 역사적으로 오래된 영토 주장과 민족적 대립에 기인한 이 분쟁은 심각한 고통을 초래했으며 이 지역 안정에 큰 장애물로 남아 있다. 이 지역을 연구하는 학자들이 수행한 심층 분석에 관심이 있는 독자라면 Jansiz & Khojaste를 참조하는 것이 좋다. 이 논문은 코카서스 위기의 역사와 지역 안보에 미치는 영향을 논의한다. Börzel & Pamuk은 남코카서스의 유럽화와 부패 퇴치의 과제를 다룬다. 유럽, 아시아, 중동의 교차로에 위치한 이 지역의 지정학적 중요성은 강대국의 개입으로 지역 역학을 더욱 복잡하게 만들었다. 이 분석서의 다음 장에서는 안보 복합체 이론의 렌즈를 통해 이 지역을 살펴보고 안보 상호 관계의 역학을 분석한다. 이를 통해 우리는 강대국과 유럽 연합과 관련한 코카서스의 역할을 이해할 수 있다.
상호 연결된 안보 문제
안보 복합체는 한 국가에 대한 위협이 다른 국가에 대한 위협으로 인식되는 안보 상호 의존성의 망으로 특징지어진다. 따라서 이러한 취약성에 대한 공유된 인식과 집단 안보 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Natalie Tavadze에 따르면, “유라시아주의와 러시아의 코카서스 접근 방식이 서로 일치한다는 것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런 점에서 중부 코카서스는 러시아의 뒷마당으로 여겨진다. 조지아, 아제르바이잔, 아르메니아, 흑해, 카스피해는 러시아에게 전략적으로 중요한 지역이자 국가들이다. 러시아는 이 지역을 지배하기로 결심하고 ”민족 카드“를 사용하여 중부 코카서스 국가들의 균형을 깨뜨린다. 러시아는 “자국의 인근 지역”에 대한 외부 세력의 영향력을 당연히 국가 안보의 관점에서 바라보게 된다. “러시아가 자국에게 지정학적으로 유용한 영토를 양보할 생각이 없다는 것을 여러 번 분명히 밝혔기 때문에, 이들 지역에 대한 위협은 어떤 수단으로든 저지해야 한다”는 이 지역 전문가 중 한 명의 이러한 인용문은 이 지역의 안보 역학을 아주 잘 보여준다. 이제 이 지역의 지리적 역학을 살펴보자.
뚜렷한 지리적 지역
안보 복합체는 지리적으로 정의된다. 일반적으로 그 범위가 지역적으로 정의되지만 때로는 보다 중요한 지역이 포함되기도 한다. 안보 복합체 내 국가의 지리적 근접성은 안보 문제의 상호 연결성에 기여한다.
지리적으로 코카서스는 북코카서스와 남코카서스로 이 지역을 나누는 거대한 코카서스 산맥으로 정의된다. 대(大) 코카서스는 유럽에서 가장 높은 봉우리인 엘브루스 산과 같은 우뚝 솟은 봉우리를 자랑한다. 이러한 험준한 지형은 역사적으로 고립된 지역 사회를 만들었고 그 결과 풍부한 언어와 문화가 발전하게 되었다. Kura-Aras의 남쪽에 위치한 소(小)코카서스는 이 지역의 지리적 복잡성을 더욱 증가시킨다. 고지대 빙하에서부터 비옥한 계곡과 반사막 지형에 이르기까지 이 지역의 다양한 지형은 놀라운 생물 다양성에 기여한다.
코카서스는 여러 대륙의 교차로에 위치하여 역사적으로 전쟁터이자 무역과 이주를 위한 통로가 되었다. 이러한 전략적 중요성은 이 지역의 문화적 풍경에 흔적을 남겼다. 코카서스는 각각 고유한 언어, 전통, 역사를 가진 많은 민족 집단의 고향이다. 따라서 이러한 다양성 때문에 이 지역은 갈등과 긴장의 무대이기도 했다. 이 지역은 역사를 통틀어 수많은 대내외적 세력 간 권력 투쟁을 목격했다.
무정부적 구조
국제 시스템과 마찬가지로 안보 복합체는 무정부적 구조 내에서 운영된다. 안보 복합체는 긴장과 갈등을 고조시킬 수 있는 규칙을 시행하거나 분쟁을 해결할 수 있는 포괄적인 권한을 가지고 있지 못하다. Cornell and Starr가 적절하게 관찰했듯이, “코카서스의 많은 국가는 약한 거버넌스 구조를 갖고 있어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약점은 영토에 대한 효과적인 국가 통제가 잘 이루어지지 않아 법치주의가 훼손되고 공공 서비스 제공이 부족한 것이 특징이다. 법치주의에 기반한 강력하고 주권적인 국가를 수립하지 못하면 부패와 국가 관리 부실로 이어져 거버넌스가 더욱 어려워진다.” 동시에 러시아의 역할이 중요하다. 러시아의 정책은 종종 이 지역을 불안정하게 만들었는데, 러시아의 개입과 지배력 유지 시도가 이 지역의 분쟁과 거버넌스 문제를 악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러시아의 강압적인 외교와 군사적 사용에 대한 의존은 이 지역 정부의 주권을 훼손하고 분쟁 해결을 위한 노력을 복잡하게 만들었다.
공유된 안보 역학
안보 복합체 내의 국가들은 군비 경쟁, 동맹 형성, 분쟁의 악순환과 같은 전형적인 안보 역학을 공유한다. 이러한 안보 역학은 자체적으로 강화되는 안보불안의 악순환을 만들어낸다.
이 지역은 해결되지 않은 무력 충돌로 인해 많은 어려움을 겪었으며, 이 때문에 지속적인 안보 불안이 야기된다. 이러한 분쟁과 갈등은 그 영향을 받는 지역을 불안정하게 만들고 이 지역의 평화와 안보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친다. 이 지역에서 발생하는 지속적인 적대 행위는 효과적인 거버넌스를 방해하고 광범위한 불안정성에 기여한다. 그 결과 이 지역에는 조직 범죄와 급진적인 이념이 증가했는데, 특히 빈곤과 실업이 극단주의 단체에게 비옥한 토양을 제공했다. 범죄와 정치적 폭력의 결합은 거버넌스와 사회적 안정에 상당한 위협을 가한다.
게다가, 사람들은 민족 간, 국가 간 긴장을 계속 관찰한다. 국가적 열망이 서로 다른 다양한 민족 집단이 존재하면 긴장이 심화된다. 이러한 상황은 외부적 영향력과 역사적 원한이 더해지며 더욱 복잡해져, 빠르게 폭력 사태로 확대될 수 있는 복잡한 민족 간 관계를 양산한다.
마지막으로, 이 지역에는 심각한 사회 경제적 문제가 있다. 이 지역 전체가 경제적 붕괴 상황에 직면해 왔고 그로 인해 높은 수준의 빈곤은 거버넌스 과제를 제기한다. 경제적 기회의 부족은 이 지역 주민들 사이에서 불만을 부추기고 이는 사회적 불안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그 결과 이 지역의 거버넌스를 더욱 어렵게 만든다.
위협의 사회적 구성
안보 복합체의 개념은 안보 위협이 객관적 현실이 아니라 사회적으로 구성된다는 것을 인식한다. 안보 복합체 내의 국가는 위협을 구성하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한 공통된 이해를 공유하는데 이러한 공유는 이들 국가들의 행동과 상호 작용에 큰 영향을 미친다.
코카서스 지역의 경우, 이러한 안보 복합체에서 전형적인 여러 안보 위협과 과제를 쉽게 식별할 수 있다. 지역적 안보 불안 - 체첸 전쟁의 여파와 압하지야, 남오세티야, 나고르노카라바흐와 같은 지역에서 일시 동결되었지만 여전히 진행 중인 분쟁은 안보 불안을 조장한다. 이러한 분쟁은 여전히 파급 효과가 있을 가능성이 높으며 국제 테러 조직은 이를 악용한다.
권위주의적 거버넌스 – 구 소련 시대의 권력 구조가 통제력을 유지하면서 이 지역에서 권위주의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정치적 반대 세력은 종종 억압되고 민주적 개혁 조치는 부족하며 생활 수준은 저하된다.
생태적 이슈 - 이 지역은 아랄해의 수질 악화와 제한된 농경지와 같은 심각한 생태적 문제에 직면해 있으며, 이러한 문제는 이 지역의 불안정성에 기여하고 기존의 긴장 상황을 악화시킬 수 있다.
급진적인 무장 이슬람 단체 – 이 지역 정권의 배타적 성격으로 인해 부상한 무장 이슬람 단체는 마약 밀매와 같은 문제에 비해 현재는 덜 중요한 위협적 존재로 간주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지역의 안보 위협을 가중시킨다.
이 분석서의 나머지 부분은 러시아, 미국, 유럽 연합에게 있어 코카서스 지역이 지정학적으로 얼마나 중요한 지에 대해 초점을 맞춰 기술할 것이다.
지정학적 중요성
러시아와 관련된 중요성
러시아는 수년 동안 이 지역에서 중요한 강대국이었다. Neil Melvin의 “코카서스의 매듭을 다시 맺다: 남코카서스에 대한 러시아의 진화하는 접근 방식”(Royal United Services Institute에서 출판)은 지정학적 역학의 변화 속에서 남코카서스에서의 러시아의 변화하는 역할을 탐구한다. 역사적으로 러시아는 이 지역을 서방의 영향력에 대한 완충 지대로 삼고, 흑해와 중동에서 자신의 야망을 이루는 데 이 지역이 필수적이라고 여겨 왔다. 그러나 다극 체제의 출현과 터키, 이란, 중국과 같은 새로운 국제적 행위자의 관여로 러시아의 지배력에 도전이 제기되었다. 2020년과 2023년 나고르노카라바흐 분쟁은 힘의 균형을 더욱 변화시켜, 특히 아르메니아에 대한 러시아의 영향력을 약화시켰다.
이에 대응하여 러시아는 이 지역과의 경제 및 교통/운송 관계를 강조하는 동시에 이 지역에 자신의 안보 입지를 유지하면서 전략을 재편하고 있다. Neil Melvin는 러시아가 이 지역의 강대국과의 관계를 강화하고 새로운 지정학적 환경에 적응함으로써 자신의 영향력을 유지하려 한다고 주장한다. 유럽-대서양 공동체는 이 지역 국가들이 다중(多重) 동맹 정책을 추구하고 나토와 유럽 연합 통합의 전망이 줄어듦에 따라 러시아에 맞서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궁극적으로 이 보고서는 서방이 남코카서스의 변화하는 현실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그 접근 방식을 재조정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또한 남코카서스는 여러 가지 이유로 러시아에 중요하다. 첫째, 남코카서스에 러시아 군이 주둔하면 러시아가 군사력을 투사하고 이 지역 안보 역학에 영향을 미칠 수 있게 된다. 제2차 나고르노카라바흐 전쟁 이후 러시아는 아제르바이잔에 평화유지군을 배치하고 아르메니아에 군사 기지를 두어 이 지역의 핵심 안보 제공자로서의 역할을 강화했다. 경제적으로 남코카서스는 에너지 운송과 관련해 전략적으로 중요하다. 러시아는 이 지역을 통과하는 에너지의 공급과 인프라에 대한 통제권을 유지하여 유럽과 다른 시장에 에너지 분배에 영향력을 계속 유지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러시아는 나고르노카라바흐 분쟁과 같은 갈등 중재에 참여함으로써 이 지역 안정을 위한 핵심 주체로서의 역할을 주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러시아는 자국의 이익을 위협하거나 서방의 개입으로 이어질 수 있는 분쟁이 확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미국과 관련된 중요성
2017년 카네기 국제평화재단은 Rumer Sokolsky 와 Stronsky의 흥미로운 분석을 발표했다. 이들 저자에 따르면, 미국에게 있어 남코카서스 지역의 중요성은 의심할 여지가 없는 데 그 이유는 여러 가지에 근거한다. 이들 저자에 따르면, 남코카서스에 대한 미국의 주요 관심사는 다음과 같다: 지역안정 유지(일시 동결된 분쟁 재발을 방지하고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 조지아 간 평화로운 환경 촉진), 민주적 변화와 거버넌스를 위한 지원(미국은 남코카서스 국가에서 민주적 변혁과 보다 나은 거버넌스가 이루어지도록 지원하여 이들 국가가 국제 사회에 통합되도록 하고자 함), 경제 개발(미국은 남코카서스 내에서 경제 성장과 개발이 촉진되는 데 관심이 있는데, 이 지역의 경제적 번영이 지역 안정에 기여할 수 있음을 미국은 인식함), 에너지 안보(카스피해의 에너지 자원의 중요성이 지적되기는 하지만, 글로벌 에너지 시장의 변화로 이 지역 에너지에 대한 미국의 관심이 줄어듦), 마지막으로 불법 활동 대응(미국은 지역 안정과 안보에 위험을 초래하는 국제 범죄와 불법 거래를 퇴치하는 데 관심이 있음).
제임스 카라파노(캐서린 셸비 컬럼 데이비스 국가 안보 및 외교 정책 연구소의 부소장 겸 데이비스 국가 안보 및 외교 정책 연구소의 E. W. 리처드슨 펠로우, 헤리티지 재단)에 따르면, 2022년 2월에 시작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해 미국은 글로벌 이익과 전 세계에 대한 책임감을 통감하게 되었다. 따라서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유럽에서 에너지 다각화의 필요성이 강조되었고, 이로 인해 남부 가스 회랑(SGC)과 이 지역적 국가들과의 파트너십에 대한 관심이 다시 높아졌다. 아제르바이잔의 가스전을 유럽에 연결하는 남부 가스 회랑은 러시아 에너지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고 유럽의 에너지 안보를 강화하는 데 대단히 중요하다. 다음으로 지역 통합과 관련해선 조지아와 아제르바이잔의 항구 현대화와 같은 프로젝트는 물류 및 운송 네트워크를 개발하고 이 지역 간 협력을 촉진하는 데 필수적이다. 조지아가 나토와 유럽 연합 가입 대신 새로운 대안을 모색함에 따라 터키가 이 지역의 통합과 안보를 지원하면서 남코카서스에서 점점 더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의 관점에서 남은 과제는 다음과 같다: 지정학적 긴장(러시아, 중국, 이란은 이 지역에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지만, 현재 진행 중인 우크라이나 전쟁과 국제 제재로 인해 과대 행사될 수 있음), 경제적 실행 가능성(이 지역의 중간회랑은 세관 및 국경 통제 문제와 현대적 인프라의 필요성과 같은 과제에 직면해 있지만 다양한 이해 관계국의 관심을 얻고 있는 대체 물류 운송로를 제공함), 기후 정책적 의미(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지속적인 에너지 위기는 기후 정책의 변화를 촉발하여 잠재적으로 석유 및 가스 인프라에 대한 투자 증가를 야기할 수 있음).
마지막으로, 미래를 위해 미국은 이 지역 국가와의 군사 협력을 고려해야 한다. 아제르바이잔에 대한 미국의 군사 지원 강화는 이 지역 안정에 대한 미국의 보다 깊은 의지를 보여준다. ‘3해(海) 이니셔티브(3SI)’ - 3해(海) 이니셔티브의 확대는 이 지역 인프라 개발과 지역 통합을 촉진하여 남코카서스에 도움이 될 수 있다. 흑해 안보 - 흑해 안보에 있어서 나토의 변화된 역할은 중간 회랑과 지역 안정을 연계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에너지 자원에 대한 투자 - 카스피해 가스 파이프라인과 기타 에너지 이니셔티브에 대한 관심은 유럽의 에너지 공급 다각화 노력에 중요할 것이다.
유럽(EU)과 관련된 중요성
남코카서스는 여러 가지 이유로 유럽 연합에 중요하다. 첫째, 지정학적으로 남코카서스 지역은 유럽과 아시아를 잇는 중요한 관문으로, 무역로와 연결성의 측면에서 중요하다. 남코카서스는 주요 글로벌 무역로의 교차점에 위치하여 유럽 연합이 동남아 시장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해준다.
둘째, 에너지 공급 측면에서. 남코카서스, 특히 아제르바이잔은 유럽 연합의 에너지 전략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왜냐하면 유럽 연합이 에너지 공급을 다각화하고 러시아 에너지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려고 하기 때문이다. 아제르바이잔은 유럽 연합에 천연 가스를 공급하는 주요 국가로,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이후 그 중요성이 점점 더 커졌다.
셋째, 지정학적으로 이 지역의 지정학적 지형은 우크라이나 전쟁을 포함한 최근 분쟁으로 크게 바뀌었다. 유럽 연합이 남코카서스 국가와 교류하는 것은 이 지역의 안정과 역학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특히 이 지역 국가들이 유럽 연합과 러시아 중 어느 쪽과 외교 정책의 초점을 맞출 것인가를 탐색하는 데 대단히 중요하다.
넷째, 경제 파트너로서 남코카서스 국가와의 관계가 강화되면 유럽 연합과 이 지역 국가 간 경제 협력이 심화될 수 있다. 이러한 협력 강화는 유럽 연합이 이 지역 국가들과 무역과 투자를 강화하려는 상황을 감안할 때 특히 중요하다. 이를 통해 유럽 연합 주변 지역의 경제 성장과 안정성도 증대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남코카서스는 유럽 연합이 러시아에 경제 제재를 가하는 상황에서 상품의 운송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점점 더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 지역을 통한 무역 흐름을 모니터링하고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유럽 연합의 역량은 경제 제재를 시행하는 데 필수적이다.
결론
이 짧은 분석서는 국제 사회에 있어서 코카서스(더 정확히는 남코카서스)의 중요성과 잠재적으로 글로벌 힘의 균형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 지정학적 요인의 잠재력을 증명했다. 여당인 ‘조지아 드림’이 의회에서 과반수 의석을 차지한 조지아의 최근 총선(2024~2025년 조지아 시위 사태)은 야당이 이 선거가 사기였다고 주장하면서 시위가 촉발되었다. 승리한 ‘조지아 드림’당은 2028년까지 유럽 연합 가입을 위한 유럽 연합과의 협상을 중단하기로 결정했다. 이러한 움직임은 반(反) 유럽 연합(따라서 친러시아)행위로 간주된다. 동시에 친러시아 논평가들은 시위대가 미국 중앙정보국(CIA)의 지원을 받았다고 주장했다(2013년 우크라이나 마이단혁명이나 2019년 홍콩 시위와 관련하여 제기된 주장이기도 함).
남코카서스는 미국, 러시아, 터키, 이란, 유럽 연합이 참여하는 지정학적 체스판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들 국가들 모두 적어도 단기적으로는 이 지역 평화와 안정에 관심이 있다. 이러한 입장은 우크라이나 전쟁이 완전히 끝나지 않는 한 현상 유지가 진행될 것임을 의미한다. 미래는 우크라이나 전쟁의 종식과 파나마 운하와 그린란드에 대한 권리 주장으로 이미 세계를 놀라게 한 트럼프 미국 47대 대통령의 비전과 행동에 달려 있다.
First published in :
World & New World Journal
Krzysztof Śliwiński는 홍콩 침례대학교 정부 및 국제학과 부교수이다(http://gis.hkbu.edu.hk/staff/ sliwinski.html).
그는 2005년에 바르샤바 대학(국제 관계 연구소)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08년부터 그는 홍콩 침례 대학에서 근무했다. 그는 유럽 통합, 안보 연구, 국제 관계 및 글로벌 연구에 대해 강의하고 있다. 그의 주요 연구 관심 분야는 안보 연구(비전통적 안보 문제), 영국의 외교 및 안보 정책, 폴란드의 외교 및 안보 정책, 유럽의 외교 및 안보 정책이다. 그의 최근 출판물에는 "사이버 보안 주체로서 유럽 연합의 약점을 넘어서, 현대 보안 정책," 2014, 35, 3, In Smith, M. A. (ed.) 유럽 보안. 군사, 전략 및 안보 연구의 중요한 개념, (468-86)과 M., Śliwiński, K. & Thomas, N. (2020). "정서적인 효과가 있나요? 시뮬레이션에서 정서적 학습 측정," 국제 연구 관점, ekaa005, https:// doi.org/10.1093/isp/ek aa005이 있다.
Unlock articles by signing up or logging in.
Become a member for unrestricted reading!